PoS (Proof-of-Stake)

2021. 6. 29. 21:38
반응형
 지분증명

 

 1. 기본개념

 시스템상에서 다음 블록 생성자는 해당 코인을 특정양 보유하고 있는 주주들 중 선출되는 것

자신의 코인 양에 따라 이자가 발생하는 방식이기에 별도의 채굴기가 필요하지 않다.

채굴하고자 하는 코인을 지갑에 보유하면 그 보유량만큼 작업을 증명할 수 있는 지분을 갖게 되는 것

 

 2. 장점

  • 기존 PoW의 문제였던 유지비와 전력 소모량, 전송속도 등의 해결이 가능
  • 각 개개인이 코인을 보유하고 지갑을 연동시켜 놓는 것만으로도 강한 보안 장벽을 만들 수 있음
  • PoW에서 51% 해시파워가 가지는 비용보다 PoS 자산의 51%를 가지는 것이 비용적 측면에서 더 높기에 중앙집권화가 더 어려워 분산화가 이루어진다
  • 이자라는 보상을 받기 위해 지갑에 일정량의 코인을 항상 보유하고 있어야 하므로 Pumping & Dumping을 방지할 수 있다

 3. 단점

  • 코인 가격과 가격 자체의 상승폭이 크지 않기 떄문에 지분만 많다면, 네트워크가 누군가에 의해 통제될 가능성이 있다.
  • 코인을 지갑에 넣어두고 네트워크를 계속 유지해두어야 노드가 유지됨
  • 채굴 비용이 없어지면서 어떤 포크가 최종 승인을 받을지 애매한 상황에서는 모든 체인의 포크에 동의하여 채굴 보상을 받는 것이 채굴자의 합리적 행동. 이로 인해 채굴자들이 수없이 다양한 합의 결과 모두에 동의하게 되고 단순 이중 지불 이상의 3중 4중 지불도 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 현재는 POS 참여시 담보금을 맡기고 이 담보금 상황에 일정 lock을 걸어두어 해결하거나, 다른 POS + POW 형태로 구현되기도 한다.
반응형

'IT > BlockCha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ella Consensus Protocol  (0) 2021.07.01
영지식 스타크 (zk-STARKs)  (0) 2021.07.01
영지식 스나크 (zk-SNARKs)  (0) 2021.07.01
영지식증명 (Zero-knowledge Proof)  (0) 2021.06.29
PoW (Proof-of-Work)  (0) 2021.06.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