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Klaytn Brand Ambassador 만두아빠입니다.

 

Klaytn과 Finschia가 아시아 최대규모의 합병을 선언하며 새로운 Project Dragon 시대를 열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준비과정 중 이번 포스팅에서는 DeFi 생태계 강화를 위한 Klaytn Foundation의 D2I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이 아티클은 시리즈로 연재됩니다.

 

Dragon DeFi Initiative 프로그램 소개

D2I Grantee 1 - Dragon Swap

D2I Grantee 2 - Izumi Finance

D2I Grantee 3 - Wombat Exchange

 


 

 

지난 3월 29일 Dragon Swap이 런칭부터 29일까지의 프로토콜 수익에 30%에 해당하는 39,710 KLAY를 소각한다고 발표했습니다. Dragon Swap은 Klaytn 재단의 Pre-D2I(Dragon DeFi Initiative) 프로그램에 선정되며 Klaytn 생태계를 위해 자체적인 KLAY 소각을 약속한 바 있습니다. 재단이 아닌 프로젝트에서 생태계를 위한 큰 결심을 하고, 실천에 옮긴 것에 대해 많은 사용자들과 커뮤니티는 칭찬을 멈추지 않았습니다.

 

Dragon Swap이 KLAY를 소각한 것은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걸까요?

먼저 블록체인 업계에서 코인 혹은 토큰을 소각하는 목적은 크게 3가지로 나뉩니다.

 

  1. 시장 공급량을 줄여 코인/토큰의 가격상승을 유도
  2. 토큰 상장 혹은 판매 이후 미판매 분량 소각
  3. 일정량의 코인/토큰 소각 후 해당 가치(Value)만큼의 새로운 코인/토큰 발행

 

이번 Dragon Swap의 KLAY 소각은 1번에 해당하는 시장 공급량을 줄이는 효과를 가져오기 위한 소각입니다. 시장 공급량이 줄어들면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의해 그만큼 상대적으로 다른 KLAY 홀더들에게는 가격 상승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KLAY 홀더들은 환영할 수 밖에 없는 소식이죠. 그런데 이것을 Klaytn 재단도 아닌 Dapp 프로젝트가 생태계를 위해 자신의 수익을 일부 포기하는 선택을 했다는 겁니다. 생태계를 위한 큰 결심이라는 이유가 바로 여기서 나온겁니다.

 

그럼, Dragon Swap이 이번 KLAY 소각 발표를 하며 언급한 Klaytn 재단의 D2I란 무엇일까요? 그리고 이 D2I에는 어떤 프로젝트들이 선정되었을까요? 

 

 

먼저 D2I는 DDI에서 D가 2개라 D2I로 작성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Dragon DeFi Initiative의 약어인데, 말 그대로 드래곤체인(Klaytn과 Finschia의 합병 이후 체인의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가칭) 내에서 특히, DeFi와 관련된 생태계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인센티브 프로그램입니다.

 

기존의 Klaytn 생태계에서 DeFi 열풍으로 Liquidity Mining(LM)을 기반으로 한 Dapp들이 주목받아왔지만 2022년 버블의 붕괴와 deleveraging 과정을 겪으며 TVL이 급격히 하락하고 무너지고 말았습니다. Dapp의 붕괴는 Klaytn 생태계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2021년 NFT의 열풍과 함께 우후죽순처럼 쏟아져나오던 Klaytn 기반의 다양한 프로젝트들의 성장은 KLAY의 가격 폭주를 이끌었습니다. 하지만 NFT의 열기가 식고 DeFi에서 다양한 문제가 터지기 시작하며 다른 코인들과 마찬가지로 KLAY 역시 대폭 하락하며 위기를 겪게 됩니다.

 

Klay의 ATH는 5,000원에 육박했었습니다.

 

이에 Klaytn 재단은 올해(24년) 1월초, Klaytn Governance Proposal을 통해 D2I 프로그램을 발표했고, 여기에서 타 서비스와 시너지를 내지 못하고 무너진 Dapp이 중심이 되는 생태계를 과감히 탈피하고 타 서비스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냈거나, LM 구조에 의존하지 않고 실제 금융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끌어올릴 수 있는 BM을 채택한 Dapp들을 발굴해 드래곤체인(가칭)의 탄탄한 DeFi 생태계를 구축할 것임을 밝혔습니다.

 

유기적인 시너지를 낼 수 있는 Dapp들이 탄탄하게 구축된 생태계를 꿈꾸는 Dragon Chain

 

Klaytn Foundation이 밝힌 D2I에는 DeX, Lending/Staking Protocol뿐만 아니라 Gov/Yield/Swap Aggregator, LSDfi, Derivatives, Bridge 등 Dapp들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외에도 (당연하겠지만) 다양성을 갖춘 다양한 서비스들이 생태계에 풍성하게 유입되고 운영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재원은 크게 Liquidity Provision과 DEV Grant, Liquidity Incentive로 나뉩니다.

 

  • Liquidity Provision은 서비스 출시를 위한 최소한의 유동성을 제공하기 위한 인센티브입니다. 무이자 대출 상품으로, 쉽게 예를 들면, 초기 창업가들을 위해 국가에서 사업 초기 자금을 무이자대출로 지원해주는 것과 비슷한 형태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DeX의 경우 초기 유동성 풀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초기 유동성을 지원하고, Lending 서비스는 초기 Vault 형성에 필요한 유동성을 지원합니다.
  • DEV Grant는 서비스 출시에 필요한 비용 일부를 지원하는 보조금으로 재단과 협업 관계에 있는 Audit(감사) 기업을 이용할 때 필요한 감사 비용을 지원합니다. 
  • Liquidity Incentive는 TVL 증진을 위한 인센티브입니다. Dapp의 Burn Rate를 줄이고 UAC(User Acquisition Cost, 모객비용)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합니다.

 

Liquidity Provision과 DEV Grant만으로는 D2I 프로그램의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어려울 수 있다는 판단에 이번 D2I에서는 이 Liquidity Incentive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D2I에서는 Liquidity Provision과 DEV Grant를 하나로 묶어 마일스톤을 관리합니다. D2I에 선정된 프로젝트는 서비스 출시 후 성실히 마일스톤을 이행한 프로젝트임을 증명해야 Liquidity Incentive를 신청할 수 있게 됩니다.

 

특별히 이 D2I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프로젝트들은 드래곤체인(가칭)의 핵심적인 공공 인프라를 담당할 Dapp을 만드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므로 재단으로부터 적극적인 지원을 받게될 것이라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재단 측에서도 KLAY 가치 창출에 적극 기여하기를 요구하고 있는데, 각 Dapp별로 상황에 맞게 어떻게 KLAY 가치 창출에 기여할 수 있을지 제안서에 작성을 해야합니다. 

 

여기에는 재단이 크게 4가지로 예시를 제안해두었는데, 각각 Insurance Fund, Revenue Wallet, Burn Fund, Governance 구조에 Weighted Pool LP 도입입니다. 이 중 Burn Fund의 경우, 앞서 살펴본 Dragon Swap의 KLAY 소각이 대표적인 예시라고 할 수 있겠네요. 팀의 매출 지갑을 의미하는 revenue wallet에 포함되는 재원의 30%를 KLAY 소각에 활용하는 것입니다. 

 

Klaytn과 Finschia의 통합 드래곤체인(가칭)은 Insurance Fund 등을 통해 DeFi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시작하겠다고 말합니다. 통합을 앞둔 두 프로젝트는 각각 Kakao와 Line을 기반으로 한 250M이 넘는 잠재적인 사용자 층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드래곤체인(가칭)의 D2I 프로그램은 Klaytn과 Finschia 두 프로젝트의 결합이라는 상당히 큰 볼륨의 서비스 합병을 앞두고 더욱 더 프로젝트 생태계를 공고히 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보입니다. 특히, 단순히 인센티브 지급을 통해 Builder들과 Dapp들을 유치하고 그 소식을 공표하는 것에 그치는 프로젝트들이 많은 반면, D2I 프로그램그 설계부터 재단 측의 세심한 고민의 흔적들이 엿보이는 것 같습니다. 어떻게하면 통합체인의 생태계를 밑바닥부터 탄탄하게 다질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곳곳에 드러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재단이 단기적 펌핑을 통한 가격 상승만을 노린 것이 아닌 기반이 될만한 Dapp들의 자생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느 것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D2I 프로그램을 통해 선정된 세 프로젝트들은 사실 이미 국내외에서 다수의 사용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유명 서비스들입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선정된 각각의 서비스들을 좀 더 상세하게 살펴봄으로써 드래곤체인(가칭)의 DeFi 미래는 어떻게 그려질지 함께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볼 예정입니다.

 

 

 

 

Reference

Klaytn Foundation, '[KGP-26] Dragon DeFi Initiative (D2I): Crafting the Core of Project Dragon's DeFi Ecosystem' 2024.1.22

Klaytn Foundation, 'Project Dragon의 DeFi 생태계 구축 전략' 2024.1.22

Dragon Swap, '[Pre-D2I] Monthly KLAY Burn - March, 2024' 2024.3.29

CoinmarketCap, Klaytn Yearly Chart, 2024.4.1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