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반응형

세계 최대 NFT 마켓플레이스로 불리던 OpenSea를 누르며 혜성같이 등장한 새로운 NFT 마켓플레이스가 있다. 출시 4개월만에 거래량 기준 글로벌 1위를 달성한 Blur가 그 주인공이다. OpenSea의 장기 독주로 굳어져가던 NFT 마켓플레이스 업계가 신입의 등장에 크게 흔들리는 모양새다.

프로 트레이더를 위한 NFT 마켓플레이스, Blur

NFT 마켓플레이스 전체 NFT 거래량 차트. Messari 제공.

 

Blur가 NFT 마켓플레이스의 상당히 늦은 후발주자임에도 불구하고 정식 서비스 출시 4개월만에 글로벌 1위를 달성한 요인으로 Blur의 효과적인 포지셔닝을 꼽는다. Blur는 NFT를 전문적으로 거래하는 트레이더를 위한 플랫폼으로 설계된 마켓플레이스다. 프로 트레이더들에게 최적화된 마켓플레이스라는 영역을 노려 큰 성공을 거두었다는 평이다.

Blur가 프로 트레이더를 위한 플랫폼으로 포지셔닝을 성공적으로 한 요소로 크게 NFT 프로 트레이더를 위해 특화된 UI와 에어드랍을 꼽는다. Blur는 포트폴리오 분석, 스윕 기능, 낙찰을 위해 마지막 순간 입찰하는 스나이핑 도구 등 프로용 툴을 제공한다. 다른 마켓플레이스에 이런 기능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런 툴들을 종합적으로 갖춰 NFT 시세 차익 거래에 초점을 맞춘 플랫폼은 Blur가 최초다. 여기에 자체 토큰의 도입으로 거래량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NFT 거래에 따라 차등 지급하는 에어드랍이 OpenSea를 능가하는 거래량을 만들어내는데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풀이된다.

토큰으로서의 Blur

Blur는 4월 26일 코인마켓캡 기준 시가총액 127위의 토큰으로 총 공급량 30억개 중 시중에는 약 4억 4천만개 정도가 유통되어 있다. 토큰 개당 가격은 796원 정도 선에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시가총액은 약 3500억원에 이른다. 상당히 높은 이 Blur의 시가총액 대부분은 상위 10위권의 보유자들이 가지고 있다. Blur 토큰은 전체 소유자 4만 지갑 중 상위 10위권 내 보유자가 전체의 94.33%를 보유하고 있는 중앙집중도가 상당히 심한 토큰이다. 전체 공급량의 48.5%를 한 지갑 주소에서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상당히 최근인 2022년 10월 출시된 이후 에어드랍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높여가는 초기 단계이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Blur의 에어드랍은 Care 패키지 형태로 배포되고 있으며, 주로 Blur NFT 마켓플레이스에서 활발하게 활동한 트레이더들을 대상으로 드랍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Coinbase, KuCoin, Kraken, OKX 등의 글로벌 대형 거래소를 통해 손쉽게 Blur 토큰을 구매할 수 있다.

Blur와 커뮤니티

Blur는 23.7만 팔로워의 트위터와 13만명의 디스코드 채널을 SNS로 운영중에 있다. 출시 시기를 감안하면 상당히 빠른 속도로 SNS를 성장시킨 셈이다. NFT 마켓플레이스의 특성상 유저 간의 커뮤니티를 통한 자발적인 정보 공유와 토론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OpenSea의 트위터 팔로워 수 200만에는 못미치지만, 디스코드 멤버 23만명에는 상당히 빠른 시간내에 근접하고 있어 OpenSea에 비해 Blur가 프로 트레이더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는 플랫폼임을 체감할 수 있다.

 

빠르게 성장중인 NFT 마켓플레이스 Blur

 

NFT Winter의 신선한 봄바람이 된 Blur

비교적 최근까지 NFT 시장은 OpenSea의 수년간의 독주와 테라-루나 사태와 FTX 파산 등으로 불어온 크립토 윈터에 의해 시장성을 잃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시장 분위기가 환기되기를 기다리며 출시가 연기된 프로젝트도 많았던 시장에서, Blur는 NFT 시장의 핵심적인 핀포인트 포지셔닝에 성공하며 열풍을 불러일으키는데 성공했다. 비록 평가를 하기에는 단기간이지만 Blur의 NFT 시장에서의 신선한 바람은 트레이더뿐만 아니라 NFT 관련 프로젝트, 산업 전반의 환기를 불러일으키는데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반응형
반응형

2023년 4월 24일, 부산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열린 '2023 부산 블록체인 콘퍼런스'에 다녀왔습니다. 갑자기 왜 부산이냐. 부산은 2019년 블록체인 특구로 지정되어 규제 완화를 통한 블록체인 사업 활성화를 지원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다양한 블록체인 기업들이 부산으로 본사를 이전해 여러 사업을 진행중에 있다고 해요.

 

 

웨스틴조선호텔은 처음 가봤어요. 좀 오래된 느낌이었는데, 위치가 아주 예술입니다. 

 

웨스틴조선 호텔 바로 옆에서 본 해운대 풍경이에요. 엄청나게 높은 저 건물이 엘시티라고 하는데 높이가 상상을 초월하네요. 시간이 시간인지라 사람들은 많이 없었지만 해운대는 역시 해운대. 멋지네요.

 

2023 부산 블록체인 콘퍼런스는, 비온미디어라는 부산일보와 블록체인 R&D 기업 온더가 함께 만든 블록체인 전문미디어의 창간식을 함께한다고 합니다. 포스터 이미지는 약간 게토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느낌의 비트코인 이미지네요.

 

호텔이라 그런지 아주 스케일이 예술이에요. 저 많은 책상과 의자를 갖고 있다니.. 전체적으로 보랏빛과 푸른빛이 도는 이미지를 만들어놓았어요. 블록체인하면 일반적으로 떠오르는 색상이 그런걸까요?

 

블록체인 메카 부산의 자부심.......

 

이번 행사에는 유명한 사람들도 많이 참여했습니다. 제일 대표적으로 안철수 의원이 있죠. 실물은 처음 봤는데, 가까이 가서 사진찍으시는 분들이 워낙 많아서 정면샷 찍기가 어려웠습니다. 유명인의 삶..

 

또 유명한 분으로 부산광역시장이신 박형준 시장님도 참석했어요. 썰전에서 패널로 있으실 때는 그렇게 크신지 몰랐는데 장난아니시더라구요. 간단한 네트워킹 후에 블록체인 콘퍼런스가 시작됐습니다.

 

꽤 크다고 생각했던 홀을 꽉 채운 인파. 기자분들이 특히 많이 오신 것 같았어요. 

 

전문 아나운서분이 진행도 해주셨습니다. 

 

전체적인 분위기는 이렇게.. 뒤에 살짝 보이는 화환. 누가 보낸건지는 모르지만 몇개 전시되어 있더군요.

 

첫 순서로 온더와 비온미디어의 대표를 맡고 계신 심준식 대표님의 말씀이 있었습니다. 제가 위치를 진짜 잘 잡아서 딱 가운데에서 사진 찍을 수 있었던게 이렇게 좋네요. 

 

부산시장님의 축사. 부산과 블록체인에 대한 생각보다 많은 말씀을 하셨습니다. 2선째 하고 계신데, 이제 가시적인 성과들이 많이 나타날 수 있도록 부산을 잘 이끌어주셨으면 좋겠네요. 물론 저는 부산에 연고가 없어서 잘 아는게 없지만...

 

부산일보 사장님의 축사. 부산일보가 생각보다 엄청 큰 회사더군요. 지역신문이라 잘 몰랐는데, 부산인구가 330만명.. 통합창원시 100만명까지 생각하면 경남이 엄청나긴해요. 이런 많은 인구가 있는 부산에서 가장 유명한 신문사라고 합니다. 이번 비온미디어를 함께 설립했다고 해요. 

 

안철수 국회의원의 축사. 축사를 더 많은 분들이 하셨지만, 유명한 분들은 이정도.. 나머지분들은 대단하신 분들이긴한데 거의 대부분 초면이셨습니다. 각 업계에서 대단하신 분들이시겠죠? 아마..

 

축사가 끝나고 간단한 창간 퍼포먼스가 있었습니다. 신기하길래 앞에 나가서 기자분들이랑 같이 어깨를 나란히 하고 사진을 찍어봤습니다. 비트코인 저 로고를 누르면 프로모션 비디오가 뜨는 식으로 구성했나보더라구요. 

 

대충 이런 느낌인데, 이미 사라진 비트코인 로고에 여전히 손대고 계신 분들.. 끝까지 저렇게 계시긴하던데.. 영상이 이쁘긴하더군요. 파란파란 이미지. 

 

그리고 갑자기 단체 사진을 찍으셨습니다. 나중에 보니 이때 이미 시장님이랑 의원님은 퇴근하셨는지 사진에는 안보이시네요. 교수님들도 많으시고, 공무원 분도 계시고.. 뭐 그랬던 것 같습니다. 여기까지가 창간식 마무리. 블록체인 콘퍼런스니까 토론이 있어야겠죠. 

 

토론은 두 가지 주제로 나뉘어서 진행됐습니다. 때문에 아주 길...었죠.

 

첫 번째 주제인 '부산 디지털자산거래소 어디로 가나' 에서 키노트 기조연설을 담당한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 설립추진위원장(겁나 기네요) 김상민 위원장님의 연설이 있었습니다. 예전에 V원정대라고 전국 대학생 봉사단에 참여했던 적이 있었는데, 그 당시에 뵈었을 때보다 거의 두 배 정도 살 찌신 것 같았습니다. 그 때 따로 불러서 1:1 대화도 하시긴했는데, 저는 전혀 기억엔 없으시겠죠? 전에 비례대표 국회의원하시는 것까진 기억에 남았는데, 정치를 아직 하고 계셨구나 생각이 들었습니다. 뭐 사담이 길었지만, 부산 디지털자산거래소 설립 잘 되었으면 좋겠네요. 5월에 큰 그림 그려놓은 것들에 대한 공식 발표가 있을 예정이라고 하시니, 기대가 됩니다. 얼마나 멋진 큰 그림을 그리셨을지..

 

여러 패널분들의 토론과 질의응답이 이어진 후에, 두 번째 주제인 '블록체인 특구에 바란다'가 잠시 쉬는 시간 후에 진행됐습니다. 이번에는 뱅코의 강대구 의장님이 키노트 기조연설을 진행하셨습니다. 뱅코는 디지털자산거래소인 보라비트를 운영하는 블록체인 기업이라고 합니다. 

 

블록체인 콘퍼런스에 있었던 내용은 많은 기자분들이 기사화를 잘 해두셔서 제 블로그에는 해당 행사에 있었던 내용을 크게 다루지는 않았습니다만, 추후에 괜찮았던 내용들에 대해서는 별도 포스팅을 작성해서 살펴볼까 합니다. 여튼 그렇게 끝이난 콘퍼런스. (근데 컨퍼런스라고 주로 쓰지 않나요? 어색하네요 콘퍼런스라니..)

 

저녁을 먹고 나니 어느덧 밤이 깊어지고, 부산 해운대의 밤거리를 살짝 돌아다녀보았습니다.

 

해운대 바다로 가는 길 한복판에, 외국인분이 버스킹을 하고 있었습니다. 멋지네요.

 

지금 부산은 블록체인 특구이기도 하지만, World EXPO 2030을 유치하려고 준비중이기도 합니다. 사실, EXPO 쪽에 거의 모든 역량을 투입하고 있다고 보는게 맞겠죠. 이전에 들은바로는 대전이나 여수엑스포와 다르게 World EXPO는 정기 EXPO여서 유치 경쟁이 굉장히 치열하다고 해요. 경쟁중인 사우디에서도 Vision 2030의 화룡점정으로 World EXPO를 꼽고 있다고 합니다. 쉽게 유치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보니 홍보에 전력을 기울이는 것 같아요. 

 

덕분에 부산에서는 어딜가도 World EXPO와 관련된 홍보물들을 많이 볼 수 있었습니다. 부산이 World EXPO도 유치하고, 더불어 유일한 국내 블록체인 특구인만큼 블록체인 산업도 활성화되어서 부산의 발전, 국가의 발전 뭐 그런 것들이 잘 되면 좋겠어요. 부산 힘냅시다.

 

2023 부산 블록체인 콘퍼런스 참관기는 여기까지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체인링크(Chainlink)란?

체인링크는 블록체인의 스마트 계약을 블록체인 외부의 데이터, 결제, API 등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블록체인 미들웨어 플랫폼입니다. 체인링크는 이더리움 기반으로 작동하는 스마트 컨트랙트가 현실 세계의 데이터와 쉽게 연결되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체인링크의 화폐 단위는 LINK입니다. 설립자는 퍼블릭체인 및 프로토콜 서비스를 연구 및 개발한 세르게이 나자로프(Sergey Nazarov)와 스티브 엘리스(Steve Ellis)이며 합의알고리즘은 Proof of Reserves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작성일인 2023년 4월 8일 기준 체인링크는 시가총액 상위 19위 암호화폐로 LINK의 가격은 $42.89이며 시가총액은 약 $3.7억 입니다. 백서에 공개된 LINK의 총 공급량은 10억 LINK이고 그 중 현재 시장에서 유통중인 공급량은 절반 정도인 517,099,970 LINK입니다. 상위 10대 LINK 보유자는 총 공급량의 약 32%를, 상위 100위 보유자가 전체 공급량의 약 73.89%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탈중앙화된 오라클 네트워크가 어떻게 오프체인 데이터를 컨트랙트에 전달하는지 나타내는 개념도(출처 : 체인링크 2.0 백서)

 

블록체인 상에 기록되는 정보들은 블록체인이 가지고 있는 특성들로 인해 안전하고 공개적으로 보관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애초에 잘못된 정보가 블록체인에 기록되면 문제가 생기겠죠. 완전한 프라이빗 혹은 컨소시움 블록체인이 아니고서야 잘못 기록되거나 개인정보 등의 기록은 삭제하기도 어렵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오라클 문제(Oracle problems)라고 부릅니다. 체인링크는 오프체인의 데이터를 온체인 스마트컨트랙트와 연결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스마트컨트랙트에서 필요로 하는 외부 데이터가 오라클 네트워크인 체인링크의 검증을 거치도록 하는 것입니다. 잘못되거나 문제있는 기록들이 바로 블록체인에 기록되지 않도록 해 오라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죠.

시장 지배자 위치에 있는 체인링크

체인링크는 온/오프체인을 연결하는 오라클 네트워크 분야의 압도적인 선두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다른 프로젝트들은 체인링크에 비하면 시가총액 기준 1/10정도도 되지 않을 정도로 격차가 크게 벌어져 있습니다.

코인마켓캡 기준 오라클 네트워크 시가총액 순위 (출처 : 코인마켓캡)

 

때문에 오라클 문제의 해결이 중요한 DeFi 프로젝트나 담보 기반 스테이블 코인 프로젝트 등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최근 투자처로서의 매력을 크게 잃어가는 NFT 시장에서도 체인링크는 주목받고 있습니다. 체인링크에서 적극적으로 홍보중인 Dynamic NFT를 통한 NFT 메타데이터 변경 기술이 떠오르고 있기 때문입니다. 기존의 NFT의 경우 발행(Minting)되고 나서는 메타데이터를 직접적으로 수정하기가 불가능해 NFT 자체의 활용성이 제한을 받았지만 Dynamic NFT를 통해 NFT 자체의 활용성을 높이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이 Dynamic NFT의 메타데이터를 변경할 때 오프체인의 데이터를 검증하는 오라클 네트워크의 역할을 체인링크가 담당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 Dynamic NFT 부분에 대해서는 추후에 별도로 리서치를 진행해보려 합니다.

체인링크 네트워크의 선순환 구조 (출처: 체인링크 2.0 백서)

 

체인링크는 이더리움, 폴카닷 등을 비롯한 여러 플랫폼과 Dapp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SWIFT와 파트너십으로 각 국가의 주요 은행들과 네트워크를 구성해 은행 상호 간의 지급, 송금 업무 등을 지원합니다. 온/오프체인 연결이 갈수록 중요하게 다뤄지는 만큼 다양한 파트너십을 보유하고 있으며 압도적인 시장지배력을 보유한 체인링크의 발전 가능성 또한 높다고 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스포츠 팬 토큰 프로젝트 CHILIZ

 

스포츠는 국경과 언어의 장벽을 초월합니다. 스페인의 프로축구 라이벌 팀인 레알 마드리드와 FC 바르셀로나의 경기는 스페인 자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팬들의 이목이 집중되죠. 팬들은 이러한 스포츠 경기가 열리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팬이 있기 때문에 스포츠가 존재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니까요. 하지만 팬들은 스포츠 팀의 운영에 불만이 있더라도 구단 측의 운영에 참여할 수는 없습니다. 스포츠 팬들이 운영에 직접적이긴 어렵더라도 간접적으로 발언권을 가질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스포츠 팬 토큰 프로젝트 칠리즈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그 방법을 제안합니다.

 

칠리즈는 무엇인가?

칠리즈(Chiliz)는 세계 최초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팬 참여 및 보상 플랫폼인 소시오스(Socios)를 운영하는 프로젝트입니다. 팬들은 소시오스가 공식 파트너십을 체결한 축구 클럽 등에 지정된 팬 토큰(Fan Token)을 구매하고 거래할 수 있으며 팀의 중요 운영방안에 대한 설문조사에 참여하고 영향을 미치고 투표하는 권리를 갖습니다. 대표적인 파트너십으로 FC 바르셀로나, 유벤투스FC, 파리 생제르맹 FC, 인터밀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등 축구 클럽들과 종합격투기 단체인 UFC, e스포츠 및 F1 팀 등이 있습니다. 2018년 칠리즈는 바이낸스, OK 블록체인 캐피탈, FBG 캐피탈 등에서 6,500만 달러를 투자받은 바 있으며 네이티브 토큰인 CHZ 토큰은 현재 바이낸스, OKX, Upbit, Korbit 등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되고 있습니다. 스포츠 팬들은 이 CHZ 토큰을 통해 지정된 브랜드 팬 토큰을 구입할 수 있고, 소시오스 앱 내의 설문조사에 투표할 수 있는 권리를 갖게 됩니다.

 

투자 대상으로서의 CHZ 토큰

CHZ 토큰의 가격 변동 추이 (출처 : IntoTheBlock)

 

CHZ 토큰은 코인마켓캡 4월 5일 기준 59위의 1조원을 상회하는 시가총액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체 88억개의 총 공급량 중 약 67억개가 현재 유통되고 있으며 개당 165.5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상위 10위 토큰 보유자의 토큰 보유 비중은 69.62%, 상위 100위까지로 대상을 늘려보면 89.61%로 상당히 중앙화된 토큰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CHZ 토큰의 홀딩 기간 분포 (출처 : IntoTheBlock)

 

CHZ 토큰은 홀더들의 보유기간이 긴 토큰입니다. 홀더 중 1년 이상 보유자가 전체의 55%, 1개월 이상 보유하는 사용자가 40%입니다. 장기적으로 투자할 목적으로 구입하는 사용자가 많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칠리즈의 한국 시장 진출

CHILIZ 2023 Korea MeetUp

 

칠리즈는 2020년 1월 국내 진출을 공식 선언했고, 네이버 공식 블로그와 공식 디스코드 서버 내 한국 전용 커뮤니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1년에는 K-리그 포항 스틸러스와 공식 파트너십을 발표했고 올해 2월에는 출시 5주년을 맞아 새 로고 발표와 함께 대한민국 국가대표이자 세리에A 나폴리의 수비수인 김민재를 브랜드 앰버서더로 발탁하기도 했습니다.

3월 14일 알렉산드레 드레이푸스 CEO가 직접 내한해 강남에서 진행된 칠리즈 2023 코리아 밋업을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밋업에서 CEO가 직접 국내 스포츠 산업에 투자할 계획을 밝히며 생태계 확장과 커뮤니티 관계 강화를 선언했습니다. 많은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국내 커뮤니티에 무관심한 것에 반해 칠리즈는 그 프로젝트 자체가 스포츠에 기반을 둔 만큼 프로 스포츠가 활성화된 한국 시장에 관심을 많이 갖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커뮤니티 활성화

칠리즈는 스포츠 팬들과의 소통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소통의 접점에 있는 여러 SNS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죠. 칠리즈의 공식 트위터 팔로워 수는 49만명, 디스코드 3만명, 인스타그램은 2.7만명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으며 미디엄과 페이스북 등 여러 채널을 통해 스포츠 팬들과 소통하고 있습니다.

 

팬 토큰을 통한 스포츠를 즐기는 새로운 방법

칠리즈의 팬 토큰은 해당 팀의 성적, 인기 등에 따라 가격 등락이 있어 이를 마치 스포츠 베팅과 같이 사용하는 팬들도 많습니다. 국내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인 업비트에는 유벤투스의 팬 토큰인 $JUV, 파리 생제르맹의 팬 토큰 $PSG, AC밀란 팬 토큰 $ACM 등 5종이 상장되어 거래되고 있습니다. 다른 스포츠 팀 팬들은 자신이 응원하는 팀의 팬 토큰이 상장되어 거래되기를 바라기도 합니다. 팀의 승리, 성공과 인기는 곧 팬 토큰을 소유한 팬들의 응원에 대한 리워드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파리 생제르맹이 유럽 챔피언스리그 결승에 진출했을 때 가격이 치솟았던 것을 예로 들 수 있겠죠. 칠리즈를 통해 스포츠 팬들은 스포츠를 즐기는 또 다른 방법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단순히 스포츠 토토처럼 베팅만 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응원하고 소통하는 커뮤니티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죠.

반응형

NFT (Non-Fungible Token) ?

2022. 11. 23. 15:40
반응형

Blockchain(블록체인) 알아보기


NFT (Non-Fungible Token)

NFT의 개념

NFT란,

JPG, GIF, 비디오 등 디지털 파일에 대한 소유권블록체인 상에 저장하여

위·변조가 불가능한 상태로 영구 보존하고

소유권을 탈중앙화된 형태로 누구나 확인할 수 있도록 공개해놓은

디지털 자산에 대한 일종의 블록체인 기반 전자 등기권리증

 

NFT를 제작, 구입한 소유자는 거래를 통해 디지털 자산을 재판매할 수 있음. 단 NFT는 인증서일뿐 원본 작품 그 자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

 

기존의 디지털 파일은 쉽게 무단 복제가 가능하며, 원본과 사본의 차이가 없어 소유자를 증명하기 어려웠음

NFT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복제 불가능한 고유성을 가지기 때문에 희소성을 온전히 인정받을 수 있음

 

NFT의 장점

  • P2P 거래 가능성
    • Smart Contract (스마트 계약)과 연동시켜 개인 간의 거래를 가능하게 함
  • 소유권 증명과 자산 관리 용이성
    • NFT는 탈중앙화된 블록체인 상에 저장되므로 위조가 어렵고 추적이 쉬우며 소유권 분실에 대한 우려를 줄일 수 있음
  • 거래, 유통 촉진
    • 토큰 자체를 1/n으로 나누어 소유권을 부분적으로 유통할 수 있게 함으로써, 디지털 자산의 거래를 촉진시킬 수 있음

NFT의 단점

  • 원본 소실 위험
    • NFT 자체는 블록체인 상에 기록되어 영구히 보존되지만 실제 원본 디지털 파일은 그렇지 않음.
    • 일반 중앙집중형 서버에 보관되는 원본 파일의 경우 해킹 또는 관리 부주의로 인한 유실 우려 존재
  • 희소성 문제
    • 원본 파일 자체가 디지털 파일이기에 무단 복제가 쉽고 원본과 사본의 차이가 존재하지 않음
    • 원본이라는 개념이 확실히 존재하는 회화, 조각 작품보다 희소성이 떨어질 수 있음
  • 법적 분쟁 가능성
    • NFT 자체가 법적으로 유효한 소유권 이전인가에 대한 문제
    • 복제권과 전송권, 저작인격권 침해 문제
    • 재판매권(추급권, resale royalty) 인정 여부
    • NFT 자체가 현행 특금법상 가산자산에 해당하는지 여부
    • NFT 플랫폼 사업자의 책임과 면책 여부
  • 환경 문제
    • NFT는 생성(민팅), 구매, 판매, 재판매 등 모든 단계에서 Transaction을 발생시키게 되어 에너지 낭비 문제가 야기됨


NFT의 다양한 응용 사례들

  • 각종 디지털 수집품 : CryptoFunks, CryptoKitties, NBA TopShot 등
  • 패션 : Louis Vittons, Channel, Nike 등
  • 게임 아이템 : P2E 게임 (Axie Infinity ...) 등
  • 티켓 발급 : WaterBomb NFT 등
  • 신원 증명 및 각종 인증서 : COOV(블록체인 기반 질병정보 관리), MIT 학위증명서 등
  • 부동산 : Kasa, Piece 등

 

NFT의 거래

NFT Marketplace

  • OpenSea (https://opensea.io/)
    • 전 세계 최대 규모의 NFT 마켓플레이스
    • 판매 수수료 2.5%로 저렴한 편
  • NiftyGateway (https://www.niftygateway.com/)
    • 유명 셀럽, 디지털 아티스트들의 작품만을 판매하는 고급 NFT 마켓플레이스 지향
    • 신용카드로 NFT를 구매할 수 있으며 수수료 15%로 높은  편
  • NBA Topshot (https://nbatopshot.com/)
    • NBA 경기의 명장면을 담은 동영상 NFT를 구매할 수 있는 마켓플레이스
    • CryptoKitties를 개발한 DapperLaps에서 런칭
    • PoS 기반의 Flow 블록체인을 사용
    • 신용카드로 NFT 구매 가능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