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반응형

 

안녕하세요. 블록체인하는 만두아빠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MarbleX의 NFT Ambassador 'Lunar Guardians' 활동의 일환입니다.

이번 포스팅 이후에도 꾸준히 MarbleX 관련 소식 포스팅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부탁드립니다. 

 


 

 

오랫동안 기다려온 MARBLERSHIP Lunar Animals가 공식 출시되었습니다!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셔서 Lunar Animals Collection을 획득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MarbleX NFT Marketplace에는 Rainbow Collection만 등록되어있습니다.
따라서 MarbleX NFT Marketplace가 아닌 OpenseaX2Y2 Pro와 같은 별도의 NFT 전문 마켓플레이스에서 판매중인 NFT를 따로 구매하시거나 nft.marblex.io에서 Swap이나 Airdrop을 통해 얻을 수 있습니다.

 

 

포스팅을 작성하고 있는 3월 15일을 기준으로 Lunar Animals NFT는 가장 낮은 가격인 바닥가가 340 Klay 정도에 형성되어 있고, Lunar Animals를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Puzzle NFT는 바닥가 20 Klay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다만, 바닥가에 가까운 Puzzle NFT 들은 현재 공개된 키워드인 M.A.R.B.L.E.X가 아닌 J, P, Z 등의 Puzzle인 경우가 많습니다. 공개 키워드에 포함된 Puzzle NFT들은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에요.

 

에어드랍이나 기타 이벤트를 통해서 받게된 Puzzle NFT가 있으시다면 확인해보시고 부족한 파트의 Puzzle NFT를 구매하시는 편이 좋겠습니다. 그리고 혹시 모르니 추후 키워드 공개를 노린다면 바닥가에 팔리고 있는 Puzzle들을 미리 사두는 것도 방법이 될 수는 있겠네요. 

 

 

현재 nft.marblex.io에 들어가시면 기존의 Rainbow Mining 위에 새로운 Lunar Animals Mining v2가 생긴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Lunar Animals는 획득하게 되면 NFT 마다 일정 수량의 채굴 가능한 MBX가 있습니다. 여기서 Staking을 하시면 일정 시간동안 NFT에 포함된 MBX를 채굴할 수 있고 채굴이 완료되면 Level UP할 수 있습니다. 최대 레벨까지 상승된 Lunar Animals는 상위 등급으로 교환이 가능하니 보유하고 계시다면 꾸준히 Staking을 통해 레벨업과 등급 상승 등의 업그레이드를 노려보세요.

 

 

 

스테이킹 메뉴로 들어가면 최대 100개까지 NFT를 Staking할 수 있으며 APR을 Boost 하거나 보상을 Claim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는 아직 갖고 있는 Lunar Animals가 없어서 채굴에 어느정도 시간이 소요되는지 확인은 어려웠습니다.

 

 

다만, 이미 레벨3까지 채굴하신 분들이 꽤 있으신 것으로 보아 그렇게 많은 시간이 걸리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Swap과 Claim을 통한 Lunar Animals Collection NFT를 획득할 수 있는 방법을 조금 더 상세하게 공유드리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블록체인하는 만두아빠입니다. 

 

지난 포스팅에 이어 스테이킹한 FIL토큰을 기반으로 이자농사와 언스테이킹도 체험해보겠습니다.

 


 

 

스테이킹이 완료되고나서 파밍(이자농사) 탭으로 넘어와보면 FIL토큰 스테이킹으로 받은 FIT 토큰으로 파밍할 수 있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확인한대로 59개의 FIL토큰 스테이킹하면 약 58.9개의 FIT 토큰을 수령할 수 있는데, 이 FIT 토큰을 특정 기간 동안 Lock하고 이자를 수령할 수 있습니다. 저는 테스트니까 1개월만 진행해볼께요.

 

 

예상되는 보상이 378.53 FIG 라고 뜹니다. 일단 찍히는 금액이 58.93에 비해 매우 커보이긴한데, 어느정도의 가치를 지닌 토큰인지..

 

 

농사를 클릭하고 트랜잭션을 진행해줍니다.

 

 

저렴한 가스비..

 

 

한국어로 되어있긴한데, 또 무슨말인지 얼추 알 것 같기는 한데, 번역이 조금 이상합니다. 변동기간 농사, 농사짐..?!

 

 

FIG 잔액에 아까 확인할 수 있었던 379.5310 FIG가 추가되었습니다. 대신 제 FIT 토큰은 4월 5일까지 잠겨있다고 뜹니다.

 

 

FIG 토큰을 직접 메타마스크 지갑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제 메타마스크에서 tFIL 토큰 말고도 FIG 토큰의 보유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언스테이킹은 처음 포스팅에서 진행했듯이 스테이킹 페이지로가면 할 수 있습니다.

 

이자농사를 위해 스테이킹해서 얻은 FIT 토큰을 모두 잠궈버렸기 때문에 Faucet을 통해 다시 10 FIL을 받아 스테이킹을 했습니다. 이 중에 2개를 언스테이킹해봅니다.

 

 

해왔던 대로 메타마스크에서 컨펌하면 생각보다 조금 긴 시간이 지난 후에 성공적으로 언스테이킹할 수 있습니다. 2개의 FIT 토큰을 언스테이킹해 총 2.000338 FIL 토큰을 수령했습니다. 

 

 

테스트 마무리한 시점에서의 FIL 토큰과 FIT 토큰 잔액입니다. 

 


 

여기까지 필리퀴드 테스트넷에 참여해보고 포스팅을 남겨보았습니다.

 

필리퀴드 테스트넷은 비록 현지화가 완벽하게 된 것은 아니지만 필요한 부분에서의 한국어 번역이 잘 진행되었고 깔끔한 UI와 간단한 사용성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가스비가 매우 저렴했고, 다양한 지갑을 지원하는 점이 매력적이었습니다. 다만 각 트랜잭션 마다의 딜레이 시간이 굉장히 긴 편이고, 한국어 번역이 전반적으로 잘되어있지만 용어를 단순하게 번역한데 그쳐 다소 어색한 표현이 많이 보였습니다. 그리고 FIT 토큰에 관한 설명은 바로 확인이 가능했지만 파밍농사와 관련된 FIG 토큰에 대해서는 별다른 정보가 제공되지 않아 활용을 어떻게 해야할지 알기 어렵다는 점이 단점이었습니다.

 

테스트넷 이후에 여러 피드백을 받아 개선된다면 파일코인 투자자로서 새로운 파일코인의 사용처가 생긴다는 점에서 큰 점수를 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앞으로의 필리퀴드 행보도 기대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블록체인하는 만두아빠입니다. 

 

 

작성일 기준으로 비트코인이 9천만원을 돌파하고, 이더리움이 5백만원을 넘는 등 그야말로 불장이 이어지면서 가상자산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고 있음을 느끼고 있습니다. 하지만 블록체인에의 관심이 너무 투자 쪽에 집중되는 상황이라 오히려 블록체인 기술에의 관심은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것은 아닌가 느끼기도 합니다. 그런 중 이번에 필리퀴드에서 테스트넷을 오픈해 체험한 경험을 공유해드리기 위해 포스팅을 작성해봅니다.

 


 

우선, 필리퀴드를 체험하기 전에 파일코인(Filecoin)이 무엇인지 먼저 알아야합니다. 필리퀴드는 이 파일코인의 FIL토큰을 기반으로하는 서비스이기 때문입니다.

 

 

파일코인은 분산형 클라우드 스토리지용 P2P(Peer-to-Peer) 네트워크로 Protocol Labs에서 개발하고 있습니다. 창립자인 Juan Benet은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를 창시한 사람이기도 합니다. 파일코인의 FIL 토큰은 네트워크 참여자들이 서비스를 제공/활용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토큰으로 파일코인은 FIL 토큰을 참여자들이 IPFS 스토리지 시스템 기반의 스토리지 공간을 제공하는 인센티브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필리퀴드는 이 파일코인의 FIL 토큰를 활용하는 DeFi 플랫폼입니다.

 

 

필리퀴드는 FIL 토큰을 활용해 추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여러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인프라 서비스에 해당하는 파일코인에도 이런 서비스가 생겨나는게 어쩌면 당연한 거였을 수도 있는데 왜 이제서야 처음으로 등장하는 걸까 싶기도 합니다.

 

그럼 이제 체험을 해볼까요?

 


 

 

필리퀴드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테스트넷 참여를 할 수 있는 버튼을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한국 사용자들을 위해 한국어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도 굉장히 마음에 드네요.

 

하지만 일단 테스트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테스트넷을 위한 FIL토큰을 수령해야합니다.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저는 Calibration Faucet을 제공하는 곳을 찾아 토큰을 수령했습니다. Faucet은 수도꼭지라는 뜻이죠. 틀면 나오는 수도꼭지처럼 클릭하면 토큰을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테스트넷에서 사용할 토큰을 받기 위해 사용됩니다. 한 번에 10FIL 정도를 제공해주기 때문에 시간을 두고 약 60FIL 정도를 받아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필리퀴드 테스트넷을 들어가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만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도 한국어로된 서비스를 만날 수 있네요. 아주 현지화가 잘 된 서비스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처음 DeFi를 사용하시는 분들께는 좀 어려울 수 있지만 가이드가 제공되고 있으니 확인해보시면서 하나씩 알아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가이드는 영어로 되어있어요.

 

 

테스트를 위해서 먼저 지갑을 연결해줍니다. 보통 메타마스크 정도 지원하는게 일반적인데, 필리퀴드에서는 다양한 지갑을 지원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솔라나 네트워크를 기반해서 사용되는 지갑은 거의 대부분이 지원되는 것 같습니다.

 

 

저는 Faucet에서 60tFIL을 받아두었기 때문에 메타마스크 연결하니 tFIL이 확인되었습니다. 지갑을 연결하면 바로 테스트넷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합니다.

 

 

지갑 연결이 완료되면 테스트넷 페이지에서도 FIL 잔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장 먼저 기본적인 스테이킹부터 체험해봤습니다. 60개가 있는데 전부 다 넣지 않고 일단 59개만 스테이킹해봤습니다. FIL 토큰을 스테이킹하면 받게되는 유동성 토큰인 FIT를 FIL 토큰 59개 기준으로 약 58.9개 정도 받게된다는 것을 알 수 있네요. FIL/FIT 교환비율이 1.001167이라고 표시된 것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테이킹 금액을 체크하고 확인버튼을 누르면 트랜잭션이 진행됩니다.

 

 

메타마스크에서 트랜잭션을 위한 가스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테이킹을 위한 트랜잭션에 가스비는 0.00000923tFIL이 들어가는걸 볼 수 있네요. 거의 들어가는 가스비가 없는 수준의 저렴함입니다. 최근 이더리움의 급상승으로 이더리움 가스비 폭탄만 보다가 필리퀴드 가스비를 보니 거의 공짜로 쓴다는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가스비를 확인하고 메타마스크에서 컨펌하면, 한 15~20초 정도가 지나고 스테이킹이 성공적으로 완료됩니다. 트랜잭션 체크를 통해 Explorer 서비스에서 해당 트랜잭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FILSCAN은 꽤나 깔끔하게 생겼네요. 정상적으로 잘 전송되었음이 확인됩니다. 여기까지가 완료되면 스테이킹은 완료됩니다. 

 


 

스크린 캡쳐를 하나씩 하면서 진행하다보니 생각보다 분량이 많아져서 별다른 건 없지만 두 개의 포스팅으로 나눠서 작성해보려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파밍(이자농사)와 언스테이킹을 체험한 내용을 공유드리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지난 2월 17일에 드림플러스 강남 지하 1층 홀에서 있었던 De-FERENCE 2024에 다녀왔습니다. 한정된 인원만 참석 가능했던 이번 행사에 운 좋게도 저희 회사가 Sponsor로 참여하게 되어 치열한 경쟁을 뒤로하고 오프라인 참석이 가능했습니다. 생각보다 주변에 많은 분들이 선착순 컷에 밀려 현장 참여를 못하게 되셨더군요. 인기가 엄청나구나 했습니다.

 


 

 

디퍼런스 2024는 서울대학교 기반의 블록체인학회 Decipher에서 주최하는 행사입니다. 한 해동안 Decipher 학회원분들이 활동하고 배우고 성취한 내용들을 발표하는 행사로 이번이 7회째라고 합니다. 전국에 각 대학별로 많은 블록체인 학회가 있지만 Decipher하면 특히 이름나있는데, 이번에보니 제가 이전에 알던 로고와 조금 달라졌더라구요.

 

제가 이전까지 알던 디사이퍼 로고

 

제가 알고 있던 로고는 위의 이미지같은 로고였는데 이번에 오프라인 참석자를 대상으로 나눠주신 굿즈에서는 아래의 새로운 로고로 변경되어있었습니다. 슬리퍼가 특히 퀄리티가 좋아보였는데 아직까지 밖에는 신고나가지 못했네요.

 

새로 변경된 것으로 보이는 디사이퍼 로고

 

 

 

 

디퍼런스 행사 공식 포스터입니다. 다양한 스폰서들이 참여했고, 총 3개의 세션으로 나뉘어서 진행됐습니다.

  • 블록체인 생태계에 공헌하다
  • 블록체인, 대중에게 다가서다
  • 블록체인 인프라의 현재와 미래를 말하다

각 파트별로 시작에 앞서 Keynote 발표가 Four Pillars, ATIV, A41 순서로 진행됐고 대부분은 회사 소개에 가까운 내용이었습니다. 

 

이후 총 6개팀이 각 파트별로 1년간 진행한 프로젝트 혹은 리서치 조사 내용을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번 행사는 유튜브 라이브 스트리밍으로도 송출됐는데 약 30명 내외분들이 꾸준히 시청하시더라구요. 제가 앉은 자리가 카메라 정면이라 유튜브에 몇번 나갔을 것 같은데, 몸 컨디션도 안좋은 상황에서 다소 민망했습니다..

 

 

입구에서 볼 수 있었던 De-FERENCE 플랜카드. 저 계단 아래를 내려가면 디퍼런스 행사장이 나옵니다. 이번 디퍼런스의 부제는 Proof of Contribution.

 

 

저는 행사 시작 전 약 10분 전에 도착했습니다. 전체 자리의 앞 5줄 정도는 미리 지정된 스폰서석이 마련되어 있었고, 그 뒤로는 자율적으로 행사에 참여하신 분들이 앉을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되어 있었습니다.

 

 

저는 운좋게도 회사 자격으로 이렇게 한 자리를 배정받을 수 있었습니다. 저희 팀 이름이 Business Planning team이 아닌데, 아마 제가 보내드린 명함 앞면 기준으로 사업기획팀장이라고 되어있어서 그대로 번역하신게 아닐까 싶네요. 영문으로 직함명이 작성되는거면 미리 말씀해주셨으면 보내드렸을텐데.. 사실 큰 상관은 없습니다. 제가 조금 어색했어서..

 

 

저희 온더는 스폰서로 참여해서 옆을 보니 이렇게 스폰서 플랜카드가 있더군요. 이걸 들고 발표하거나 돌아다닐 일은 없었습니다.... 그냥 함께 있었다 정도..

 

 

점심은 참석한 저희 팀원들끼리 나가서 먹게 됐습니다. 행사장에는 (비싼) 도시락과 다양한 다과를 챙겨주셨어서 원하면 자리에서 네트워킹하면서 먹을 수 있었는데, 대표님도 계셨기도하고 여러 이유로 나가서 먹게 됐죠. 드림플러스 강남 근처의 한 한우집이었는데 갈비탕이 가격은 비쌌지만 엄청 맛있었습니다. 강남엔 맛집이 참 많아요.

 

 

디퍼런스 한 켠에는 월드코인 오브(Orb)가 있었습니다. 딱 이 시점까지만해도 월드코인이 그렇게까지 드라마틱한 상승을 하지 않아서 참석한 저희 팀원도 한 명만 오브에 홍채를 등록했을 뿐이었는데, 이날 이후 거의 2배가 넘는 가격상승을 하는 미친듯한 힘을 과시했죠. 이 날 오브 오류로 월드코인 등록하지 않은 팀원은 지금까지 후회중입니다. 전 저 눈깔인형도 갖고 있는데 눈깔 인형도 가격이 올랐을까요?

 

 

디퍼런스 2024 전체 영상은 라이브 스트리밍을 진행한 디사이퍼 공식 유튜브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중간중간 영상에 보면 마스크 끼고 앉아있는 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꽤나 많이 나오더라구요. 쉬는 시간 포함 약 7시간이 넘는 영상이니 중간중간 필요한 부분을 넘겨가며 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1~2월이되면 각 학회마다 자체적인 학술대회 형태의 행사를 개최합니다. 블록체인밸리의 KOBAC, CURG의 CUDC, 디사이퍼의 디퍼런스까지. 다양한 블록체인 학회들이 각자의 자리에서 열심히 공부하고 교류하고 있음을 매년 초 느낄 수 있습니다. 여러분도 기회가 되시면 참여해보시기를 권해드립니다.

 

특히 이번 디퍼런스의 경우 퀄리티 있는 발표가 제법 있었고, 오프라인 참여자 대상으로는 여러 굿즈를 받을 수 있어 디사이퍼 학회원이 아닌데도 디사이퍼 학회원과 같은 후드티와 슬리퍼를 신고다닐 수 있다는 놀라운 장점이 있었습니다. 굿즈 제공은 차별점이기도 해서 좋았네요. 다만 이번의 경우는 자리가 한정적이어서 선착순으로 일정 인원까지만 입장이 가능했다는 점.. 다음 번에는 혹시 모르니까 빠르게 신청하시는걸 추천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블록체인하는 만두아빠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MarbleX의 NFT Ambassador 'Lunar Guardians' 활동의 일환입니다.

이번 포스팅 이후에도 꾸준히 MarbleX 관련 소식 포스팅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부탁드립니다. 


 

 

MARBLERSHIP Lunar Animals가 공식 출시됩니다.

 

MARBLERSHIP Lunar Animals가 2024년 3월 14일 공식 출시됩니다.

 

Lunar Animals는 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양, 원숭이, 닭, 개, 돼지의 12간지 동물들에 고양이가 추가되어 총 13종의 동물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동물별로 N 등급, R 등급, SR 등급이 나뉘어져있으니, NFT는 총 39개 유형으로 나뉘어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이 귀여운 Lunar Animals는 어떻게 얻을 수 있는지 알아볼까요?

 

Lunar Animals 수집 방법

 

1. 퍼즐 NFT 모으기

 

달의 동물의 Keyword에 해당하는 알파벳 퍼즐 NFT를 모아 교환할 수 있습니다. MARBLEX 라는 문구를 만들기 위해 알파벳 퍼즐 NFT를 모으다가 빈 자리가 있으면 Joker를 사용해 빈 자리를 대체할 수 있습니다. 스왑을 통해 원하는 알파벳 퍼즐 NFT를 교환할 수 있으며, 중복 알파벳으로 교환도 가능합니다. 

 

2. MARBLERSHIP Rainbow Collection 보유자를 위한 혜택

 

이전 포스팅에서도 알려드렸던 대로, Rainbow Collection 홀더의 경우 일정 비율에 따라 Lunar Animals Collection으로 교환이 가능합니다. 단 홀더 교환 수량은 한정되어있고, 민팅의 경우 선착순에 따르는 것은 아니니 추후 자세한 공지를 기다려주세요. 공개된 교환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3× Marblership Rainbow Collection General grade → SWAP → Lunar Animal (N)
  • 1× Marblership Rainbow Collection General grade + 1× Special grade → SWAP → Lunar Animal (R)

※ 색상이나 레벨에 관계없이 NFT를 교환할 수 있습니다.

3월 14일(공식 출시일)부터 MBX NFT의 Airdrop 기능을 사용해 각 Rainbow NFT에 대해 1개의 퍼즐 NFT를 Claim할 수 있습니다.

 

3. Joker 퍼즐 NFT 사용하기

 

총 10장의 조커(R) 퍼즐을 수집하면 SR 등급의 Lunar Animal Collection으로 교체할 수 있습니다.

 

각 등급별로 상이하게 구성된 NFT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MARBLERSHIP Lunar Animals의 경우 각 등급별로 상이하게 획득 가능한 MBX 토큰이 함께 제공됩니다. 제공된 MBX 토큰은 NFT를 스테이킹함으로써 채굴이 가능합니다. 레벨링 시스템을 통해 더 많은 MBX 토큰을 채굴할 수도 있는데, N 등급의 Lunar Animal을 통해 MBX를 채굴한 후에 R 등급으로 교환하고, SR 등급으로 교환을 반복하는 것이 기본적인 레벨링 시스템입니다. 

 

13마리의 동물들은 각기 다른 기본 스테이킹 APR을 가지고 있으며 고양이가 그 중 가장 낮은 기본 APR을 가지고 있습니다. 

 

고양이를 제외환 12종의 Lunar Animal은 N 등급의 Max레벨 카드 2장을 스왑해 1장의 R 등급 카드를 얻을 수 있습니다.

SR 등급을 위해서는 총 3장의 R 등급 Lunar Animal이 필요하죠. 고양이의 경우 N에서 R 등급, R에서 SR 등급으로 승급할 때 모두 2장의 고양이 카드가 필요합니다.

 

[ 12종의 Lunar Animals ]

 

  • 2× MAX Level Lunar Animal (N) → SWAP → 1× Level 1 Lunar Animal (R)
  • 3× MAX Level Lunar Animal (R) → SWAP → 1× Level 1 Lunar Animal (SR)
[ 고양이(CAT) ]
 
  • 2× MAX Level Cat (N) → SWAP → 1× Level 1 Cat (R)
  • 2× MAX Level Cat (R) → SWAP → 1× Level 1 Cat (SR)

 

MARBLERSHIP Lunar Animals의 주요 혜택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 NFT 스테이킹을 통한 MBX 채굴

Lunar Animals NFT를 스테이킹하면 기본 APR(%)을 기준으로 MBX를 채굴할 수 있습니다.

 

  • NFT 스왑(SWAP)

기존 NFT를 새로운 NFT로 교환할 수 있는 기능으로, MAX레벨에 도달한 NFT는 더 높은 등급의 NFT로 스왑해 더 많은 양의 MBX를 보상으로 획득할 수 있습니다.

 

  • NFT 쿠폰

MARBLEX NFT 홀더는 비정기적으로 다양한 쿠폰이 제공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추후 공지를 참고해주세요.

 

  • MARBLERSHIP Lounge

MARBLERSHIP의 홀더는 MARBLEX 디스코드 내의 전용 라운지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습니다. 홀더들 만이 초대받을 수 있는 전용 라운지에서 다양한 정보와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몇몇 NFT 홀더들은 이 전용 커뮤니티 라운지를 가장 중요한 혜택으로 생각하기도 하죠.

 


 

MarbleX는 디스코드를 통해 공지와 소통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참여하셔서 MarbleX의 소식과 정보를 빠르게 얻어보시면 좋겠습니다.

 

 

Telegram | X(Twitter) | Discord | Medium | Facebook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블록체인하는 만두아빠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MarbleX의 NFT Ambassador 'Lunar Guardians' 활동의 일환입니다.

이번 포스팅 이후에도 꾸준히 MarbleX 관련 소식 포스팅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부탁드립니다. 

 


 

이번에 공유드릴 내용은 2024년 MarbleX의 새로운 MARBLERSHIP Collection 업데이트 소식입니다.

 

MarbleX는 올해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제공과 함께 사용자 경험(UX)를 향상시키기 위한 Gamification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다양한 서비스의 확장을 위해 MarbleX는 MARBLERSHIP 2가지 신규 NFT 컬렉션을 공개합니다.

 

MARBLERSHIP이란?

MarbleX MARBLERSHIP

 

MARBLERSHIP은 MarbleX 생태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NFT 기반 멤버십 프로젝트로, 가장 먼저 출시된 컬렉션은 'MARBLERSHIP Rainbow Collection'입니다.

 

MARBLERSHIP Rainbow Collection

 

Rainbow Collection은 Red부터 Violet까지 총 7가지 무지개색에 RAINBOW라는 스페셜 컬러를 추가해 총 8종류의 색상, 총 5,600개의 아이템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MARBLERSHIP에서는 채굴할 수 있는 토큰인 MBX를 각 NFT에 담아 발행합니다. 이 MBX는 NFT를 스테이킹하면 채굴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MARBLERSHIP 홀더 전용 디스코드 채널과 다양한 게임쿠폰, 에어드랍, Private AMA 등 혜택이 제공됩니다.

 


 

그럼 이번에 출시되는 2가지 신규 NFT 컬렉션에 대해 살펴봅시다.

 

1. MARBLERSHIP Lunar Animals Collection

 

 

우리가 잘 아는 12간지 동물들

 

Lunar Animals Collection은 작년 AMA에서 공개된대로 12간지 동물들을 기반으로 합니다. 우리가 잘 아는 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등 12간지 동물들에 고양이가 추가되어 총 13종 동물이 등장하게 됩니다. Rainbow Collection에서의 RAINBOW처럼 스페셜 동물로 고양이가 추가된 느낌이죠?

 

13번쨰 Lunar Animal, 고양이

 

개인적으로 Lunar Animals는 캐릭터 디자인이 너무 이쁘게 잘 나오고 특유의 보라색의 색감도 잘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Lunar Animals NFT는 각각 3등급으로 구분되며, MARBLERSHIP Rainbow Collection과 같이 Lunar Animal NFT도 각 등급별로 특정한 수량의 채굴 가능한 토큰인 MBX가 할당됩니다.

 

정확한 유틸리티가 곧 공개된다고 하니, 공개되는대로 다시 한 번 포스팅으로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2. MARBLERSHIP Puzzle Collection

 

MARBLERSHIP Puzzle Collection

 

또 하나의 새로운 컬렉션은 Puzzle Collection은 방금 소개드린 Lunar Animals Collection을 Claim하기 위해 필요한 NFT입니다. 쉽게 말해서, 이 Puzzle Collection이 있어야 Lunar Animals Collection을 받을 수 있습니다. Puzzle은 알파벳으로 구성되어있고 한 장의 조커 Puzzle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알파벳과 조커 Puzzle을 조합해 MBX NFT SWAP 페이지에서 Lunar Animal NFT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

 

첫번째 키워드는 MARBLEX

 

Puzzle NFT는 이벤트를 통해 완전 무료로 배포됩니다. 이벤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얻은 '티켓 퍼즐'은 랜덤한 알파벳 퍼즐로 교환할 수 있으며, MBX 마켓플레이스에서 거래할 수 있습니다.

 

MBX NFT에서 공개되는 키워드를 완성해 Lunar Animal NFT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로 공개된 키워드MARBLEX입니다. MBX NFT SWAP 페이지에서 7개의 알파벳 MARBLEX와 조커 Puzzle을 모아 키워드를 완성해 Lunar Animal NFT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

※ 알파벳 퍼즐로 MARBLEX를 전부 모아도 되고 빈 자리에 조커 퍼즐을 넣어서 MARBLEX를 완성해도 됩니다.

 

또한 기존의 MARBLERSHIP Rainbow Collection 홀더분들에게도 Puzzle Collection의 에어드랍이 진행됩니다. 여기서 홀더 혜택도 한 번 살펴볼께요.

 

※ 꾸준히 추가될 홀더 혜택

현재 공개된 MARBLERSHIP Rainbow Collection 홀더 혜택은 다음과 같습니다.

 

 

MARBLERSHIP Puzzle NFT를 에어드랍 받을 수 있고, MBX NFT SWAP 서비스를 통해 Rainbow Collection을 Lunar Animals Collection으로 Swap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 공개되는 두 종류의 새로운 NFT Collection의 홀더 혜택도 곧 공개될 예정입니다.

 

여기까지 살펴본 내용의 상세한 '영문' 공지는 여기를 통해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MarbleX는 디스코드를 통해 공지와 소통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참여하셔서 MarbleX의 소식과 정보를 빠르게 얻어보시면 좋겠습니다.

 

Telegram | X(Twitter) | Discord | Medium | Facebook 

 

반응형
반응형

 

 

조금 늦긴 했지만

지난 1월 13일 강남 해시드 라운지에서 열린 KOBAC 2024 행사 참관기를 남겨봅니다.

 

KOBAC 2024Korea Blockchain Academic Conference 2024의 약어로

고려대학교 기반 블록체인 학회인 블록체인 밸리에서 주관합니다.

 

올해에는 해시드, INF 크립토랩, 루디움, 쟁글 A41, 크립토퀀트 등 유수의 블록체인 기업에서 후원 기업으로 참여했습니다.

 

 

장소인 강남 해시드 라운지

 

 

인셉션에는 기념품들과 함께 타임테이블, 한 학기 동안 블록체인밸리의 리서치팀이 진행한 리서치 페이퍼들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안내 자료를 받아가실 수 있었습니다.

 

또 경품 추첨을 위한 명함 이벤트도 함께 진행됩니다.

 

 

 

행사의 주최를 도와주신 한국블록체인학회 부회장님께서 축사를 도와주셨습니다.

 

 

임원으로 한 학기 동안 고생한 부학회장과 개발팀장 두 분이 사회를 맡았습니다

 

 

KOBAC 행사장 한 켠에는 일명 코박네컷 기기가 설치되어 자유롭게 기념 사진을 남길 수 있었습니다.

 

 

행사 시작과 함께 첫 발표가 진행되고 넓은 해시드 라운지에는 전국 각 학회원들과 외부 참여자들로 가득찼습니다.

 

 

블록체인 밸리의 개발팀들도 이번 코박 행사에 발표자로 참여해 한 학기 동안 준비한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2023년 2학기 학회장 역시 발표에 참여해 프로덕트를 소개했습니다.

 

 

 

행사에 많은 분들이 참여해주셔서 준비했던 이름표가 품절되기까지..

 

 

붙이는 스티커인가.. 이거 버미와 수리 행사때 쓰고 남았던 것 같은데, 버미는 거의 품절 직전인데 수리는 널널하네요.

미니 고연전?

 

 

다음학기 리서치 팀을 담당할 리서치 팀장이 앞으로의 계획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총 4팀이 심사에 참여해주신 해시드, 쟁글, INF 크립토랩, 루디움 상을 수상했습니다.

 

주관 미디어사로 참여한 블록미디어에 해당 기사가 올라가기도 했습니다.

 

전문 사진 촬영작가 분이 계셨어서 제가 개인적으로 찍은 사진을 활용할 일은 거의 없었으나 이렇게 개인 블로그에 남겨봅니다. 역시 프로는 다르더군요.

 

많은 사람이 찾아 함께 교류했던 블록체인 학회 행사 KOBAC 2024였습니다.

 

 


 

다가오는 2월 중순, KOBAC을 주최한 고려대학교 기반 블록체인 밸리5기 리쿠르팅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많은 참여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블록체인 밸리 미디엄 [링크]

블록체인 밸리 트위터 [링크]

블록체인 밸리 인스타 [링크]

 

 

반응형
반응형

 


 

OKX 점프스타트(Jumpstart)는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OKX런치패드 플랫폼입니다.

아직 상장되지 않은 암호화폐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정착을 돕기 위한 일종의 인큐베이팅 시스템으로, OKX의 자체 코인인 OKB와 비트코인(BTC)을 특정 기간동안 예치하고 그에 대한 보상으로 신규 암호화폐를 지분에 따라 분배받을 수 있습니다.

 

최대 참여한도는 대부분 200 OKB 또는 0.3 BTC로 설정되어있으며 각 프로젝트마다 상이할 수 있습니다.

 

OKX 점프스타트를 통해 데뷔한 암호화폐는 OKX의 토큰인 OKT를 시작으로 TONCOIN, ORB 등 17종입니다.

 

 

가장 최근에 런칭한 프로젝트로는 국내 여러 거래소에서도 거래되고 있으며 큰 가격 상승으로 '핫'했지만 최근 유통량 문제로 진통을 겪고 있는 '수이(Sui)', 축구스타 손흥민이 뛰고 있는 영국 프리미어 리그의 토트넘 핫스퍼의 소시오스(Socios) 플랫폼 팬 토큰 '스퍼스($Spurs)', 국내 코인러들의 큰 주목을 받았던 '퓨저니스트(Fusionist, $ACE)' 등이 있습니다. 모두 Highest historical yield에서 볼 수 있듯 수천%에 육박하는 상승을 기록하기도 합니다.

 

이런 유수의 코인들을 상장 전에 미리 채굴해서 보유할 수 있다는 것이 OKX 점프스타트의 가장 큰 메리트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기본적으로 OKX 점프스타트는 OKX 모바일 앱을 통해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참여 전 Identity verification(KYC)이 되어있어야 합니다. OKX 내 가이드에 따라 Identity verification을 완료해주세요.

(본 글 하단에 앱 다운로드 링크를 남겨놓았습니다)

 

1) 설치한 OKX 모바일 앱을 통해 접속합니다.

 

 

 

2) 하단의 Grow 탭을 클릭하고 상단에 Jumpstart를 클릭해 들어가줍니다. 화면은 안드로이드 폰 기준입니다.

 

3) 진행중인 프로젝트가 있다면 해당 프로젝트에 Join합니다.

(현재는 모든 점프스타트가 종료됐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이미 종료된 화면으로 대체합니다. 추후 수정하도록 할 예정입니다)

 

4) 접속해보면 Pool이 두가지가 있습니다. BTC Staking PoolOKB Staking Pool로 나뉘는데, 각각 최대치까지 예치(Staking)하고 보상(Rewards)을 받을 수 있습니다.

 

 

 

BTC Staking Pool의 개별 최대치는 0.3 BTC로 24년 2월 1일 기준 약 1,700만원 정도입니다. 

 

 

OKB Staking Pool은 최대 200 OKB까지 예치할 수 있습니다. 24년 2월 1일 기준 1293만원 정도입니다.

 

5) 점프스타트 일정이 시작되면 Join 창이 열리게 되고 원하는 수량만큼 예치하게 되면 자동으로 채굴이 시작됩니다.

 

6) 점프스타트 종료 시간이 되면 채굴은 자동으로 종료되며 정해진 시간에 보상으로 확정된 토큰이 자동 지급됩니다. 

 

OKB 점프스타트는 각 Pool 별로 참여 인원에 비례해 토큰을 채굴(Mining)하고 분배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많은 인원이 참여하기 수월한 BTC Pool이 OKB Pool에 비해 보상 수량이 적은 편으로 알려져있습니다. 따라서 특별한 상황이 아니라면 점프스타트 시작 전에 BTC Pool에 참여할지, OKB Pool에 참여할지 전략적인 선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물론 양 쪽 모두에 최대치까지 참여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최대 예치 수량만큼 참여할 경우 일반적으로 풀캡 참여라고 부릅니다.

 

점프스타트에 참여하는 기간동안 코인은 예치되기 때문에 가격 변동성이 큰 경우 트레이딩 타이밍을 놓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헷징 전략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는 별도로 코인의 하락에 베팅할 수 있는 마진 거래를 이용하기도합니다만 개인적으로 추천하지는 않는 방법이기에 여기서는 다루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점프스타트가 종료되면 일반적으로 끝나는 날 OKX 거래소를 통해 코인이 상장되기 때문에 채굴한 코인을 빠르게 수익 실현할 수 있습니다.

 

추후에 오픈하는 OKX 점프스타트에 참여하셔서 유망한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채굴하는 경험을 직접 해보시기를 바랍니다.

 

OKX 거래소 가입하기 ($50 USDT 지급)

 

OKX 모바일 앱 다운로드 링크
Apple iOS | Google Playstore 

 

 

반응형
반응형

 

 

최근 들어 AI와 머신러닝, 블록체인 기술 등의 발전으로 데이터를 생성하고, 공유하고, 활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일부 분야가 아닌 거의 모든 산업 전반에 걸쳐 일어나고,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그에 따라 데이터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도 점차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여러 아티클에 걸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제 개인적인 연구 내용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이번 아티클은 그 첫번째 단계로 가장 기본이 되는 프라이버시 보호와 비식별화에 대해 정리해봅니다.

 



프라이버시 보호(Privacy Protection)

공격자가 어떠한 배경지식을 갖고 있어도 배포된 데이터에 존재하는 특정한 개인에 대해 공격자가 가지고 있던 배경지식 이상의 정보를 얻어서는 안된다. (Dalenius, 1977)

 

1977년 Dalenius와 Tore는 Towards a methodology for statistical disclosure control을 통해 프라이버시 보호의 개념을 정의했습니다.

 

비식별화(Anonymization)

개인을 식별할 수 없도록 데이터 내에서 개인 식별 정보(Personal Identifiable Information, PII)를 제거하는 프로세스

 

비식별 조치 5가지 처리기법과 17개 세부기술 (출처 : 행정안전부)

 

  • 가명처리(Pseudonymization)
    • 개인 식별 정보를 임의의 값 혹은 코드로 대체하여 개인을 직접 식별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술
    • 비교적 간단하고 효과적이나 가명화된 데이터는 배경지식과 결합되면 개인 정보가 식별될 가능성이 있음

개인정보, 가명정보, 익명정보 한 눈에 보기 (출처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가명정보 처리 가이드라인')

 

  • 총계처리(Aggregation)
    • 개인 식별 정보를 그룹화해 통계적 집계 값으로 표현하는 기술
    • 개인정보보호의 수준은 높으나 데이터를 통계적 유용성이 감소될 수 있음
  • 데이터 삭제(Data Reduction)
    • 개인을 식별하거나 추적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개인 식별 정보를 데이터에서 완전히 제거하는 기술
    • 개인정보보호 수준이 가장 높으나 데이터의 유용성이 크게 감소되며, 완전히 제거되기 때문에 복구가 어려움
  • 데이터 범주화(Data Suppression)
    • 개인 식별 정보의 값을 범주로 분류해 개인을 식별할 수 없도록 만드는 기술
    • 데이터의 유용성을 일정 수준 유지하면서도 개인정보보호의 수준을 높일 수 있으나 범주 설정에 따라 세부 정보가 손실될 수 있음
  • 데이터 마스킹(Data Masking)
    • 개인 식별 정보를 임의의 값으로 바꾸거나 암호화하여 개인을 식별할 수 없도록 만드는 기술
    • 비교적 간단하게 개인정보보호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데이터 유용성을 유지할 수 있음

 

프라이버시 보호 모델(Privacy Protection Model)

Dalenius의 프라이버시 보호 명제를 만족하기 위한 프라이버시 유출 공격에 대한 보호를 보장하기 위한 일련의 원칙

 

비식별화 기법(Anonymization Techniques)

민감한 개인정보가 포함된 데이터 집합(데이터셋)을 공개할 때, 특정 개인의 정보를 식별할 수 없게 하는 일종의 데이터 공개 메커니즘

 

비식별화 기법의 분류 (출처 : Dilpreet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Anonymization Techniques)

 

 

1) K-익명성(K-Anonymity)

     공개된 데이터에 대한 연결 공격(Linkage Attack) 등의 취약점을 방어하기 위해 제안된 프라이버시 보호 모델 

       ※ 연결 공격(Linkage Attack) : 서로 다른 데이터간의 결합으로 개인 식별 정보를 추론할 수 있는 공격 방법

    - 주어진 데이터 집합에서 같은 값이 적어도 k개 이상 존재하도록 구성해 쉽게 다른 정보로 결합할 수 없도록 함

    - 비식별된 데이터 집합에서는 공격자가 정확히 어떤 레코드가 공격 대상인지 알아낼 수 없음

    - 같은 속성자 값들로 비식별된 레코드들의 모임을 '동일 속성자 값 집합'이라고 함

 

2) L-다양성(L-Diversity)

      K-익명성에 대한 동질성 공격, 배경지식에 의한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제안된 프라이버시 보호 모델

       ※ 동질성 공격(Homogeneity Attack) : K-익명성에 의해 레코드들이 범주화되었더라도 일부 정보들이 모두 같은 값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집합에서 동일한 정보를 이용하여 공격 대상의 정보를 알아내는 공격

       ※ 배경지식에 의한 공격(Background knowledge Attack) : 주어진 데이터 이외의 공격자의 배경 지식을 통해 공격 대상의 민감한 정보를 알아내는 공격

    -  주어진 데이터 집합에서 함께 비식별되는 데이터들은 (동질 집합에서) 적어도 L개의 서로 다른 민감한 정보를 갖도록 구성

 

3) T-근접성(T-Closeness)

      L-다양성의 쏠림 공격, 유사성 공격에 대한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제안된 프라이버시 보호 모델

       ※ 쏠림 공격(Skewness Attack) : 정보가 특정한 값에 쏠려 있을 경우, L-다양성 모델이 프라이버시를 보호하지 못함

       ※ 유사성 공격(Similarity Attack) : 비식별 조치된 레코드의 정보가 서로 비슷하다면 L-다양성 모델을 통해 비식별된다 할지라도 프라이버시가 노출될 수 있음

    -   동질 집합에서 특정 정보의 분포와 전체 데이터 집합에서 정보의 분포가 T 이하의 차이를 보이도록 구성

 

비식별화 기법의 한계점

공격자가 가지고 있는 배경지식의 종류나 형태에 따라 위험도가 달라짐

- 어떠한 형태의 비식별화 기법을 사용한다고 해도 특정 개인의 민감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배경지식이 항상 존재함 (Dwork가 이론적으로 증명)

 

비식별화 기업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Differential Privacy 제안

반응형
반응형

 

이번에 Razer Blade 18을 구매하게 되면서 그간 데스크탑 PC와 비슷한 시기에 사서 아직까지 잘 쓰고 있지만 여기저기 까지고 흠집도 나고 무게추도 잃어버린, 그리고 이미 단종된 Logitech G403을 쉬게 두고 노트북과 커플템으로 마우스를 하나 맞춰보았습니다.

 

사실 처음 고민하던 마우스는 이전에 쓰던 것과 같은 Logitech의 MX Master 3s였는데, 매번 마우스는 Logitech만 쓰고 있었어서 이참에 한 번 Razer를 써보고 싶다는 생각도 들고 해서 급선회를 했습니다. Razer 마우스가 참 여러 종류가 있더군요. 그 중에서 MX Master 3s와 가장 비슷하게 생긴 Basilisk V3 X Hyperspeed를 구매하게 됐습니다. 과연 MX Master를 버리고 넘어온 값을 할런지. 가격은 정가 기준으로 12.9만원으로 11.9만원에 판매되는 MX Master 3s보다 약 만원정도 비싼 마우스입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둘다 할인이 들어가다보니 실 구매가는 그보다 10~20%정도 저렴합니다. 

 

 

너무나 이쁘게 생긴, 그리고 초록색이 참 잘 어울리는 Razer Basilisk V3 X Hyperspeed. 무선이라는 점 때문에 많이 끌렸습니다. 딱히 게이밍 마우스는 필요없어서 게이밍 마우스를 사야겠다는 느낌은 아니었는데, 어쩌다보니 게이밍 마우스로 가게 됐네요. 

 

Razer의 아이덴티티와 같은 로고를 나란히 한 박스샷.

 

 

내부 구성품은 Razer Blade와 유사합니다. 융이 없네요. 윈도우계의 맥이라고 불리듯이, 특유의 감성이 느껴지는 스티커와 박스포장입니다. 애플처럼 깔끔한 내부 포장은 아니긴하네요.

 


근접샷입니다. 손바닥이 닿는 부분의 레이저 로고는 마치 초록빛이 날 것 같이 생겼지만 따로 빛이 나거나하진 않습니다. 자석이 있는지 탈부착할때 느낌이 재밌습니다. 자석뗏다붙이는 느낌이 듭니다.

 

 

열어보면 안에는 무선 마우스다보니 AA 건전지를 넣는 공간과 리피터가 있습니다. G403은 유선 충전을 하다가 쓸 때는 빼고 사용하고 그런 방식이었는데, 얘는 마우스를 별도로 유선 충전하지 않고 건전지를 사용합니다. 장단점이 있겠지만 개인적으로는 건전지의 무게가 자동으로 더해지다보니 G403보다는 묵직하다는 느낌이 들 것 같습니다. 

 

 

같이 동봉되어있는 에너자이저 MAX를 넣어봅니다.

 

 

리피터는 2.4, 아주 심플합니다.

 

 

마우스 바닥부분에 전원을 켜면 휠 부분에 불이 들어옵니다. 초기 설정값은 레인보우 색상 순서로 자동 변경이 되는 방식입니다. 실제 마우스를 써보니 매우 부드럽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G403도 굉장히 좋은 마우스라고 생각하고 썼는데, 확실히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이 듭니다. 건전지 무게만큼 무겁다라는 느낌도 있긴한데, 딱 G403에 무게추 10g짜리 넣고 쓰는 느낌과도 비슷한 것 같습니다.

 

 

바닥부분이 이렇게 회색 느낌의 패드같은 처리가 되어있어 확실히 부드럽다는 느낌이 듭니다. 버튼 클릭은 MX Master 3s는 거의 무소음에 가까운 느낌이라면 이 친구는(이름이 너무 기네요) G403보다도 딸깍하는 소리가 큰 편입니다. 일반적인 사무용 마우스보다는 소리가 크다는 느낌입니다.

 

마우스의 다양한 기능은 Razer Synapse를 통해서 설정이 가능합니다. 저는 이미 키보드, 노트북을 모두 Razer 제품을 쓰고 있기 때문에 간편하게 설정이 가능했습니다.

 

이상으로 간단하게 개봉기를 마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